05-04 22:07
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   2025/05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Archives
Today
Total
관리 메뉴

(주) 망나니 힘집

네트워크 개론 특강 ver 1 본문

스펙도 쌓니

네트워크 개론 특강 ver 1

군포망나니 2025. 4. 10. 09:16



여러분들 네트워크 하시면 뭐가 떠오르시나요? 전 IP, MAC, Ping, 리눅스, UNIX 이런 용어들이 떠오릅니다. 

 

사실 취업을 하고 난 후, 전 대학교 때 네트워크 과목만 달달 암기했을 뿐, 전혀 이해를 못하고 있었더라구요. 

 

그래서 다시 실무에 적용시키고 이해가 우선인 네트워크 공부를 시작했어요. 

 

일단, 제가 깨달았던 부분이 있었어요. 

 

'기기', '비용', '연결' 

 

학부때 저희가 선뜻 이해가 가지 않았던 부분은 바로 네트워크 장비를 직접 다뤄보지 않았기 때문입니다. 

 

네트워크를 직접 다룰 수 있는 환경이 구축되어 있다. 정말 복받으셨습니다! 

 

회사에서는 이미 비싼 네트워크 장비를 들여서 수많은 서버를 사용중이고, PC 와 연동합니다. 

 

하지만 저희는 기껏 해야 네트워크 분석 도구 설치, 가상 환경 설치하는 등 더 깊숙히 들어가 있는 직접적인 네트워크를 다룰 수가 없었어요. 

 

그래서 ! 이미지와 함께 어떤 장비들이 있고 어떻게 연결하고 사용하는 지에 대해서 공부하고자 합니다. 
( 이론 지식이 부족할 수도 있습니다. ) 

 

실제로 일부 기업들은 씨스코 기반의 네트워크 장비를 사용한다고 합니다.  

https://www.cisco.com/site/kr/ko/products/networking/index.html

 

Cisco Networking 제품 및 솔루션

Cisco Networking은 조직이 모든 곳에서 사용자, 디바이스, 애플리케이션, 워크로드를 안전하게 연결하기 위한 지능형 네트워크 솔루션을 제공합니다.

www.cisco.com

 

출처 : CISCO

 

해당 사이트에 들어가면 엄청나게 많은 장비를 보실 수 있으세요. 

소프트웨어도 포함이네요 ㅎㅎ 

 

 

전 사실 AI 가 발전함에 따라서 네트워크, 인프라 직종이 더 각광받을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코딩보다는 사람을 만나고 장비를 다루는 것이 더 필요로 하기 때문이죠. 

 

그 다음 예제인 서버도 보겠습니다. 

https://idc.gabia.com/server 

 

가비아: IDC

1:1 맞춤 컨설팅과 24시간 365일 관리로 시스템 안정성과 강력한 보안을 보장합니다

idc.gabia.com

 

출처 : 가비아

 

월 30만원, 월 25만원 다양하네요. 

출처 : 가비아

서버호스팅은 필수겠죠 ㅎㅎ 이와 같은 물리적 서버는 한 번 구축해두면 안정성이 높죠 ㅎㅎ 

 

근데 요즘은 물리적 서버보다 가상화 서버를 들이는 추세죠. 

 

그것이 여러분들이 잘 알고 있는 클라우드입니다. 

 

https://aws.amazon.com/ko/ec2/?nc2=h_ql_prod_fs_ec2

 

아마존 클라우드 서버 호스팅 | Amazon Web Services

Amazon Elastic Compute Cloud(Amazon EC2)는 750개가 넘는 인스턴스, 그리고 최신 프로세서, 스토리지, 네트워킹, 운영 체제 및 구매 모델의 옵션과 함께 워크로드의 요구 사항에 가장 잘 부합할 수 있도록

aws.amazon.com

 

이 가상화 서버는 AWS 가 구축을 다 해두고 저희가 그 공간을 배당받아서 돈 주고 빌리는 시스템입니다. 

 

복잡하지도 않고 비용이 저렴하다는 장점 덕분에 기업들이 많이 택하기도 하죠. 

 

 

저희 회사도 물리적 서버를 사용하다가 네이버 클라우드로 변경했어요. 

 

이로써 네트워크는 비용, 구축, 유지가 굉장히 중요하다! 라는 특징을 갖고 있습니다. 

 

만약 회사에서 임대를 하게 되면 네트워크 장애 발생 시에 계속 해당 기업과 연락해야 한다는 특징도 갖고 있어요. 

 

만약 ISP(인터넷 업체 서비스) 업체에서 통신망 고장 혹은 장애가 발생한다. 직접 가셔야 합니다 ㅎㅎ ....

 

실제로 KT 재직 중인 저의 지인도 뭐 여기저기 많이 가시더라구요... .

 

 

 

쨋든, 다음 시간에는 한빛 미디어 책의 [네트워크 개론] 에 대해서 정리해보고 실무와 엮인 이야기를 전달해드리고자 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