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클라우드] AWS 요금 $0.92 청구 분석 건 VPC?
저번에 간단한 앱을 배포하기 위해 인스턴스를 생성하고 IP 할당받고 DB 적재도 해봤는데요
구성하는 과정에서의 문제 + OAuth 인증 미구현 문제로 시간도 걸릴 것 같고 다시 시도할 겸 인스턴스를 삭제했어요.
그래서 한 2일? 정도 인스턴스가 유지된 상태인데 $0.96 (약 1,300원) 이 청구가 되었더라구요.
사실 기업에서 인프라팀에서 일을 하려면 여러 플랫폼과 비용에 빠삭해야 할 것 같은데요. (아무래도 기업의 돈을 효율적으로.. (절약..))
그래서 AWS 비용을 아주 살짝 살펴보려고요.
이렇게 차트로 표시가 됩니다. 분명 제가 구성했던 환경은
EC2 + RDS 밖에 없는데 VPC, 기타... Tax 까지 있네요.
VPC 란 무엇일까?
Virtual Private Cloud 논리적으로 격리된 가상 네트워크
- VPC 가상 네트워크는 AWS의 확장 가능한 인프라를 사용한다는 이점
- 고객의 자체 데이터 센터에서 운영하는 기존 네트워크와 매우 유사
https://docs.aws.amazon.com/ko_kr/vpc/latest/userguide/what-is-amazon-vpc.html
Amazon VPC란 무엇인가? - Amazon Virtual Private Cloud
이 페이지에 작업이 필요하다는 점을 알려 주셔서 감사합니다. 실망시켜 드려 죄송합니다. 잠깐 시간을 내어 설명서를 향상시킬 수 있는 방법에 대해 말씀해 주십시오.
docs.aws.amazon.com
중요한 건, 위 글을 읽는데 요금에 관한 부분이었습니다.
VPC 사용에 따르는 추가 요금은 없습니다. 단 NAT 게이트웨이, IP 주소 관리자, 트래픽 미러링, Reachability Analyzer, Network Access Analyzer와 같은 일부 VPC 구성 요소에 대해 요금이 부과됩니다.
한마디로 가상 네트워크 구성하는 데 사용하는 요소에 요금이 따르는 거죠 이걸 통틀어서 VPC 요금에 묶나 봅니다.
( 틀렸다면 지적 부탁드려요)
서비스별 AWS 예상 비용도 측정할 수 있습니다.
https://calculator.aws/#/estimate?key=new
AWS Pricing Calculator
calculator.aws